1. 리눅스를 편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Putty나 Xshell 을 설치하여 설정하기
- VM CentOs의 물리 PC 접근용 VM 수정
: 물리PC와 가상머신과의 통신을 위해 NIC 추가 (type: Host Only)
: 물리PC 가상NIC : 192.168.56.1
: CentOs NIC2 추가 : 192.168.56.101(예를들어)
- terminal
@ centos
$ ip a (IP주소확인)
$ systmecd status sshd (프로세스가 동작중인지 확인)
$ firewall-cmd --list-all (방화벽 정책 ssh 허용 확인)
나는 Putty와 Xshell 중에 Xshell을 주로 사용할 예정인데, Xshell 기능이 훨씬 다양하다!
예를 들어 사용한 명령어 로그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음! (파일-로그-시작)
공부하고 블로그 하기에 좋은 기능이다
2. 가상장치 내보내기 ova export
@CentOs
$ shutdown -h now (시스템을 종료)
virtualbox에서 - 메뉴 - 가상머신내보내기
3. stat 파일명
파일에 관한 상세 정보 확인
[admin@localhost 0709]$ stat ifcfg-enp0s3
File: ‘ifcfg-enp0s3’
Size: 374 Blocks: 8 IO Block: 4096 regular file
Device: fd02h/64770d Inode: 16812300 Links: 2
Access: (0644/-rw-r--r--) Uid: ( 1000/ admin) Gid: ( 1000/ admin)
Context: unconfined_u:object_r:user_home_t:s0
Access: 2020-07-09 13:21:53.886000000 +0900
Modify: 2020-07-09 13:21:50.709000000 +0900
Change: 2020-07-09 15:16:11.212000000 +0900
mac time
m modify time
a access time
c change time
4. 쉘 명령어 사용
경로이름 메타문자 | ~ - (틸드는 현재 위치, -는 이전 위치) |
파일이름 메타문자 | * ? [] (*은 아무 글자 - 있어도 되고~ 없어도 되고~ ? 은 한 글자, []는 범위!) |
방향재지정 | > < | (입출력 방향을 재지정한다. ex, 2>/dev/null 표준오류를 버려라!) |
touch file{A..Z} | fileA부터 fileZ까지 파일을 생성해라 연속한 문자나 숫자 이름 가진 파일 만들때 꿀팁!!!! |
history | 최근에 실행한 명령어 목록 확인! bash 에서는 500개까지 보여줌 (~/.bash_history) |
사용자초기파일 /etc/profile | 시스템 전역에 걸쳐 환경 설정하는 파일 |
사용자초기파일 ~/.profile | 사용자가 로그인 시 적용되는 초기화 파일 |
사용자초기파일 ~/.kshrc | KornShell 실행시 실행하는 초기화 파일 |
사용자초기파일 ~./bashrc ~/.bash_profile |
Bash Shell 실행 시 실행하는 초기화 파일 |
5. 쉘프로그래밍 : 스크립트 언어, 환경변수
6. 프로세스
: 프로세스 종류, 프로세스 확인 // ps, pstree, pgrep
: PID를 확인해서 kill 시그널을 보낼수있음. 시그널 번호는 1, 2, 9, 15
: 쉘에서 작업관리 // jobs, bg /fg 전환
7. 아카이브 생성 해제
아카이브 생성/해제
tar cvf/xvf [생성할 아카이브 이름].tar [아카이브 하려는 파일들]
ex) tar cvf fruits.tar apple banana kiwi
8. 압축
compress, gzip, bzip2, zip
압축+아카이브 동시에 진행
fruits.tar.gz -> tar zxvf fruits.tar.gz
fruits.tar.bz2 -> tar jxvf fruits.tar.bz2
'[혁신성장 청년인재] 인공지능을 활용한 보안전문가 양성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y5: 리눅스 관리 (사용자 및 그룹관리 | 고급 권한 관리 | 작업 스케줄링) (0) | 2020.07.13 |
---|---|
Day4: 리눅스 기초 정리 + 특강 + 상담 (0) | 2020.07.09 |
Day2: 리눅스 기초 2 (0) | 2020.07.08 |
Day1 : 리눅스 기초 (0) | 2020.07.07 |
6개월 교육의 시작: 과정 오리엔테이션 (0) | 2020.07.06 |